검색초기화
맞춤형 체험 검색
어촌체험휴양마을 더보기
바다여행에서 추천하는 체험마을을 만나보세요.-
대야도마을태안반도 남단 안면도의 동쪽해안에 천수만에 접하고 있는 대야도어촌체험마을은 일제 강점기에 해태(김) 양식기술 연구소가 설립되어 전국으로 해태(김) 양식기술을 보급한 마을이다. 아름다운 바다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갯벌체험, 독살체험, 무인도체험 및 바다낚시 등으로 연간 2만 명 이상이 찾는 어촌체험의 명소이다. 특산물로는 최상품의 바지락, 석굴, 고추, 고구마, 낙지, 해삼, 소라, 붕장어, 우럭 등 다양한 어종이 있으며 특히 가을철 대하, 꽃게가 유명하고 우럭젓국과 박속낙지탕은 이 부근의 유명한 먹거리이다.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해송 숲에는 귀촌인 중심으로 10여 개의 펜션과 민박이 운영되고 있다. 천상병 시인 옛집과 전통 낚배 등 볼거리가 풍부하고 화가, 전통목공예가, 성악가가 마을에 거주하고 있어 전통과 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마을이다.
-
하도마을우리 하도마을은 제주시에서 동쪽으로 약 40km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옛이름은 별방이라고 하였습니다. 7개洞으로 나뉘어진 마을은 주민이 2,000여명이 거주하며 장수마을로 선정이 될만큼 공기좋고 물맑은 마을입니다. 2009년 농림수산부에서 이달의 어촌으로 선정한 구좌읍 하도마을은 아직 개발의 손이 닿지 않아 대중들에게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마을이지만 우리나라 유일의 천년기념물19호인 문주란자생지토끼섬, 세계적 희귀조류인노랑부리저어새황새, 백로, 가마우지류 등 수십종의 철새가 사시사철 날아드는 하도철새도래지, 왜구침입을 막기위해 조선시대 축조된 제주도기념물24호인 별방진과 해녀들의 삶과 애환,풍습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전시된 해녀박물관, 눈부시게 아름답고 깨끗한 푸른바다의 하얀 백사장 하도해수욕장이 우도를 벗삼아 정면에 자리하고 있어 가장 제주적인 바다문화와 바다풍경을 체험하고 만끽 할 수 있는 전형적인 어촌마을입니다. 또한 반농반어를 함으로써 늦가을부터 이듬해 3월까지는 전국 소비율의 70%를 차지하는구좌당근과 감자, 무를 수확하고 있으며 제주에서 가장 많은 해녀들이 있는 마을이기 합니다. 어촌계원 489명중 현직상시 잠수해녀가 250여명이나 되며 소라, 오분자기, 성게, 전복, 문어, 해삼, 톳, 우뭇가사리등 해녀들이 직접 잡아낸 수산물은 전국 또는 일본으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여름철동안에는 토끼섬위로 떠오르는 일출과 김녕쪽 바다위로 지는 일몰을 감상 할 수 있는 일출과 일몰의 숨은 명소로써 많은 이들의 소중한 추억을 자아낼 것입니다.
-
-
냉천마을남해군 창선면 냉천(당항리)에 있는 바닷가 마을. 임진왜란 때 왜구를 치러온 병사들이 배고픔과 목마름을 달래며 행군하던 중 냉천마을에 이르러 주민들에게 먹을 것을 청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민들도 왜구의 수탈로 초근목피로 근근이 생명을 유지하던 때라 병사들에게 곡식을 주는 대신 샘물을 떠다 대접하였습니다. 갈증에 시달리던 병사들은 얼음처럼 차가운 샘물을 마신 후, 정신을 가다듬고 전투에 나갔다 합니다. 이처럼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휘하의 수군들이 이곳에 주둔해 있으면서 즐겨 마셨다는 샘이 있는 마을입니다. 여름에는 얼음처럼 차고 겨울에는 따뜻하며 물 맛 또한 일품인 샘이 있다 하여 '냉천'이라 불리웁니다. 우리말 지명은 '찬샘' 또는 '찬새미'입니다. 남해군 내에서 제일 큰 마을에 드는 냉천은 바다를 터전으로 삼아서인지 이농현상이 심하지 않았던 마을입니다. 1970년대 군 내 거의 모든 마을들에서 도시로 떠나가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지만 냉천마을 주민들은 조상들이 물려준 터를 살뜰히 일구어가고 있습니다. 마을의 갯벌은 천혜의 자연조건에 맞춰 체험의 장으로 만들었습니다. 가족, 회사나 단체 누구든 1년 365일 체험을 즐길 수 있는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곳 "냉천갯벌체험장"에서는 조개는 물론 낙지, 가재, 게, 특히 새우 종인 쏙이 많이 잡혀 손맛 또한 쏠쏠합니다. 쏙을 잡는 방법으로 옛날 냉천마을에서는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붓으로 된장을 풀어 쏙구멍에서 쏙을 잡는 방법도 있었다고 합니다.
테마여행 더보기
바다여행의 테마별 여행코스를 만나보세요.공지사항
더보기- 2023년 어촌 유휴시설 활용 海드림 사업 공모 계획 안내 2022-07-28
- 국가어항 디지털 사진 영상 공모전 2022-07-11
- 세계 각국 청년들, 어촌체험휴양마을로 모여라 2022-07-11
- 올해 일등어촌은 어디?…어촌관광 등급결정 현장조사 실시 2022-07-11
- 2022년 어촌체험휴양마을 안전·위생 교육 개요 2022-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