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초기화
맞춤형 체험 검색
어촌체험휴양마을 더보기
바다여행에서 추천하는 체험마을을 만나보세요.-
은점마을삼동면 은점마을은 3백여년 전 이조 중엽에 경주 최씨 한 집이 국수산 자락에 터를 잡은 것이 시초다. 이어 전주 이씨, 금산 김씨, 경주 이씨, 단양 우씨 들이 뒤따라 들어오면서 집이 늘어나고, 화전민처럼 산자락을 따라 밭과 논을 일구며 농경에 의존했다. 그러다가 차츰 먹을거리가 풍부한 바다 쪽으로 세를 넓혀가며 큰 마을을 이루었다. 마을 오른쪽 바닷가에 '은굴'이라는 동굴이 있다. 사라호 태풍 때 무너지고 박쥐만 퍼득이는 이 굴은 이름처럼 은이 많이났다고 한다. 이곳에서 캐낸 은을 거래하던 가게가 있었다 하여 마을 이름을 '은점'이라 했다. 3백살 넘은 기목나무가 세찬 겨울 해풍을 맞받으며 의연히 서 있는 바닷가. 닻을 내린 50여척의 배들이 서로 몸을 기댄 채 출어를 기다리고 지천으로 깔린 몽돌밭에서는 봄날을 재촉하는 어부들의 억센 손이 그물코를 여미느라 쉴틈이 없다. 간간히 담장 너머 콜럭이는 기침소리만 들리는 조용한 마을. 그러나 따뜻한 기운에 마른 기침이 멎을 때면 마을은 청년처럼 힘이 솟는다. 다른 마을들이 겨우내 늘어져 누웠던 소를 채근해 들판으로 나갈 때 은점 주민들은 파도를 가르며 바다로 향한다. 연신 멸치를 가득 실은 정치망과 홀치기 배가 항구로 찾아들고 어막에서 염포하는 연기가 하늘을 오른다. 할머니에서 손자까지 움직이는 일손은 모두 멸치 고르느라 여가가 없다. 예로부터 은점 멸치는 알아주는 멸치다. 잡을 때는 여느 마을 멸치나 마찬가지지만 말리는 과정에서 그 맛이 틀려진다. 은점멸치는 잡은 멸치를 대형 무쇠솥으로 옮겨 수백도의 불로 염포를 한 후 몽돌밭에 그물을 깔고 말린다. 햇볕을 품어 안은 몽돌의 기운에 햇살과 바람에 시나브로 건조돼 뛰어난 은점 멸치의 참맛이 배어나는 것이다. 은점에서 나는 마른 멸치의 인기 만큼이나 멸치액젓도 인기가 높다. 은점에는 멸치액젓 공장이 7개나 된다. 은점이 마른 멸치, 멸치액젓 가공으로만 연 3억원 이상 매출을 올리고 있다. 또한 마을 1종 공동지선에는 자연산 해삼과 전복이 잘 자라 년 1천만원 이상의 수입을 올린다. 그러나 어촌계는 공동지선 수익금은 개인 분배하지 않고 고스란히 마을 공동사업자금으로 쓴다. 보석이 되던 은 대신에 바다의 은빛 멸치를 잡으며 살아가는 은점 주민들은 심성 또한 바다처럼 넓고 푸르다. 해마다 정월대보름날에는 달맞이 행사와 풍어제를 개최하여 마을발전과 단합, 마을주민의 안녕을 기원하고 있으며 마을의 소규모 지역축제로 발전하고 있다.
-
오이도마을오이도는 섬 아닌 섬이다. 본래 섬이었지만 1922년 염전을 만들기 위해 제방을 쌓아 육지와 연결되었으며, 1980년 시화지구 개발사업으로 오늘날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오이도마을에는 갯벌생태체험, 갯벌썰매 등 갯벌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체험이 준비되어 있다. 수산물어시장, 횟집, 조개구이집 등이 음식점 거리를 이루고 있어 다양한 해산물 먹거리도 즐길 수 있다. 천혜의 자원, 푸른환경과 함께 선사시대 이래로 역사유물이 풍부한 시흥시는 수도권 유일의 생태도시로 거듭날 가능성이 풍부한 도시이다. 이러한 시흥의 서쪽 해변에 위치한 오이도는 섬 전체에 걸쳐 패총이 분포되어 있으며, 해양 생태의 풍부한 조건으로 수도권 주민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지역이다. 본래 이 섬의 이름은 오질이도(吾叱耳島)였으나 ''오질''을 한자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오이''도 로 쓰여지게 된 것 이다. 오이도 패총은 서해안에서 가장 큰 규모의 패총으로,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남북관계 흐름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유적일 뿐 아니라, 내륙지방과 신석기문화의 남북교류관계, 그리고 서해안 갯벌지대의 신석기시대 해안 적응과정을 알려줄 수 있는 유적으로 파악되고 있다.
-
연명마을경남 통영시 산양읍에 위치하고 있는 연명어촌체험마을은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위치한 마을로 어선어업과 가두리 양식업을 주 생계수단으로 하는 아름다운 어촌마을이다. 또한 달아공원, 미륵산, 용화사, 한려수도가 가까이에 있어 기업이나 단체 등의 방문이 상당히 많다. 선상낚시와 수산동식물 채취를 통하여 잡은 어패류를 즉석에서 회로 떠먹거나, 탕으로 먹는 맛은 일품이다. 또한 멸치, 전복 등 마을 특산물도 맛이 좋다. 욕지도 유래 욕지면은 본래 옛 가야의 영토로 이전에는 고자미동국의 영토였으며, 6가야 중 수로의 막내 동생인 말로가 지배하던 소가야(지금의 고성)에 속했습니다.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에는 독로국, 고자군, 고성군 지역이었습니다. 석기시대의 패가, 입석, 석기, 토기, 돌칼, 돌도끼, 항아리 등의 유적과 유물로 보아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입증하고 있는데,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화로, 기왓장, 금불상 등도 출토되어 선대들이 이 섬을 영원한 삶의 터전으로 삼아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테마여행 더보기
바다여행의 테마별 여행코스를 만나보세요.공지사항
더보기- 2022년 우수 사무장 및 우수 바다해설사 선정 계획 공지 2022-10-28
- 2022년 바다해설사 하반기 활동 확대 지원 안내 2022-10-28
- 1교1촌 자매결연 '찾아가는 어촌체험교실' 이벤트 안내 2022-09-22
- 1교1촌 자매결연 '찾아가는 어촌체험교실' 대상학교 선정 결과 2022-09-07
- 1교1촌 자매결연 '찾아가는 어촌체험교실' 대상학교 선정결과 연기 알림(9.2.→다음주) 2022-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