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초기화
맞춤형 체험 검색
어촌체험휴양마을 더보기
바다여행에서 추천하는 체험마을을 만나보세요.-
동삼마을동삼어촌체험마을은 부산.영도구.동삼2동 하리 마을이라는 곳에 위치해 동삼동(東三洞)은"동쪽에 위치한 3개 마을" 이라는 뜻이다. 상리,중리,하리 등 영도의 동쪽 해안에 위치한 세 개의 자연마을이 지금의 동삼동이 되었다. 동삼마을은 그중 하리에 속한다. 또한 동삼동에 신석기 시대 패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미루어 부산에서 가장 먼저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던 곳으로 추정된다. 동삼동은 영도구의 절반이상 면적을 차지하며 북으로 영선동,신선동,청학동 등과 접한다. 봉래산의 남쪽 기슭에서 남산의 태종산까지의 중남부에 해당한다. 동쪽과 서쪽, 남쪽은 바다와 접하며, 남쪽은 태종산을 중심으로 암석 해안이 발달하고, 태종대가 있다. 동쪽 해안은 매립되어 현재는 옛 형태를 찾을 수 없다. 부산에서 가장 먼저 아침을 맞이한다고 하여 유래된 조도[아치섬이라고 함]와 방파제를 통해 연결된다. 동삼동은 부산광역시 영도구의 절반이상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태종대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17호)를 포함하고 있는 지역으로 동삼동은 상리, 중리, 하리의 3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고, 영도의 동쪽에 위치했다하여 동삼동(冬三洞) 으로 이름 지어졌다. 동삼 2동의 많은 부분은 태종대가 차지하고 있으며, 주변문화재로는 동삼동 패총(사적 266)이 있는데 이로 신석기시대로부터 원시 어로가 이루어 졌던 흔적을 엿볼 수 있으며 여러 문화층이 겹쳐있기 때문에 한국의 신석기시대 문화 연구에 중요한 유적이다. 동삼동의 면적은 7.98KM(2017년 12월 말 기준)이고 동쪽의 해안가 매립지에 국립해양박물관, 한국해양연구원, 국립해양조사원등 해양관련 시설이 자리하고 있고, 조도에는 한국해양대학교가 있다. 동삼어촌마을은 부산시수산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조직으로 어촌계원들의 어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1962년도에 동삼동에 설립하였다. 2015년에 자율관리어업 전국대회에서 선진어촌계로 선정이 되었고, 2012년에 해양경찰청에서 깨끗한 어촌마을에 선정, 2015년에는 어촌체험,휴양마을로 지정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
백사마을백사마을은 고깔모양의 강진만 중심부에 위치하며, 앞바다에 흰모래가 많아 하얀 모래마을이다. 백사마을 입구에서 체험장으로 가는 길은 영화나 드라마 배경으로 어울릴 법한 벚꽃나무가 줄지어 있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백사 바지락이라고 하면 알아줄 정도로 백사마을에는 바지락, 꼬막, 석화가 풍부하며, 갯벌체험을 즐길 수 있다. 백사마을 위치 및 환경 면 소재지로부터 서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군 소재지로부터는 남으로 20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도 바다에 인접하고 있으며 바다를 제외한 주위는 농경지이다. 대구천이 마을을 뒤로하여 바다로 유입되어 농사에 다소 도움이 되며 북으로 미산, 동으로는 수동 마을이 인접하고 있다. 이웃하고 있는 면소재지인 '수동'으로 국도 23호선이 지나고 있어 교통이용은 매우 편리하다. 마을 연혁 문헌 상에서 마을 명칭이 처음으로 나온 곳은 1789년 “호구총수”이며, 백사경이라 나타나 있다. 1912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는 백사리, 1917년 “조선면리동일남”에는 사당리 중 당전, 수동, 미산, 백사리 일부와 수동리에 수동, 백사리 일부로 되어 있다. 1922년 “강진군지” 에도 백사(수동리 중 수동)가 나타나 있고 사당리에 당전, 수동, 미산, 백사가 있다. 1967년 이후의 기록으로는 현재와 같이 확실하게 정리되어 있다. 아백사리가 수동에 있는 것은 행정구역 상 대구초등학교쪽의 수동리 번지에 해당된 곳이 수동리와 백사로 분리된 것으로 보인다. 1976년 강진군이 발행한 마을 유래지에서는 고려시대 때 대구에서 만들어 낸 청자기를 수출하는 수출항 역할을 백사마을이 하였을 것으로 추측한다. 앞바다에 흰모래가 많아 백사라했다고 한다. 이조 19대 1674년 “달성서씨”가 처음 터를 잡았다고 전해지며, 영조 2대에 “창원황씨”가 입주하여 백사로 이름지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
창우마을영관군 염산면 두우리에 위치한 창우마을은 마을이 푸른바다(칠산바다)에 둘러 쌓였다 하여 창(滄,昌)자을, 마을 뒷산이 소의 형상을 닮아서 한우산이라 불러지는 데서 우(牛)를 써서 창우라 합니다 조선3대 청백리로 알려진 밀양박씨 휘 수량의 아우 휘 수공이 임진왜란을 피해 들어와 마을이 형성되였고 해넘이(석양)이가 아름다워 많은 사진 작가들이 방문합니다 마을 뒤산 건너 백사장이 있고 갯벌로 이어진 바다가엔 갯벌에서 자생하는 게(방게,농게,칠게,빨간게등) 종류와 철새들이 모여 공생하고 수로에는 각 종 철새들 날아와 장관을 이룸니다 1990년 이전은 농업이 그 이후로는 수산업이 발달하여 농업과 수산업을 병행하는 반농반어업 형태입니다 주요 농산물은 대파, 벼,마을,보리,고추이고 수산물은 새우, 굴,꽃게,노랑가오리,서대,민어,백합,동죽입니다 체험프로그램은 조개(백합,동죽)잡이,방게잡이,뱀장어잡이,망두어잡등이 있고 , 창우항이 뉴딜300 지원에 들어가 각 종 시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테마여행 더보기
바다여행의 테마별 여행코스를 만나보세요.공지사항
더보기- 예비 귀어인 어촌생활 공모전(~5.9) 2022-04-18
- 2022년 바다해설사 신규양성 교육대상자 선정 결과 알림 2022-04-12
- 바다해설사 교육대상자 선발결과 발표 연기 알림(4.5 > 4.12) 2022-04-04
- 2022년 바다해설사 신규양성 교육대상자 모집 공고(3.15~30) 2022-03-14
- 2021년 어촌체험휴양마을 별점현황 안내 202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