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초기화
맞춤형 체험 검색
어촌체험휴양마을 더보기
바다여행에서 추천하는 체험마을을 만나보세요.-
예곡마을한산면의 「한산」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섬의 이름인「한산도」에서 유래했다. 중세기의 한산도는 완만한 산야에 초지를 이루고 있어 나라에서 말을 기르는 목장으로 관리 되었으며 이를 「한산도 목장」이라 칭한다. 이곳 추봉도에 위치하고있는 (현 추봉리, 추원포구)는 추원방포에 고려말 이래 왜구들의 극심한 노략질을 응징하기 위해 세종(1년 1418년) 삼군도 제찰사 이종무장군이 병선 227척과 병력(수군1만7천285명)의 군사를 이끌고 대마도 정벌의 대장정에 오른 출전지를 구축한 포구이기도 하다. ※그리고 임진왜란 때는 우리 수군이 이곳 한산도 앞바다에서 왜적들을 괴멸시킨(한산대첩)청사에 빛나는 대첩을 이룬 것을 비롯하여 최초의 조선 삼도수군 통제영인 한산진이 설치되는 등, 그야말로 민족 자긍의 역사와 구국혼이 서린 성역인 곳이다. 행정구역상으로 한산면 지역은 원래 거제에 속했다. 통일신라 시대에는 거제군 3현 가운데 하나인 명진현(현,거제시 동부면지역)에 관할되었으며, 그 후 조선초기까지는 거제현 남면,그리고 조선후기에는 거제현 둔덕면 7방에 속했으며 행정 동리는 창동 두억포, 소고포,여차포,야소포,서좌리,동좌리,죽도 호두,추원,용초,봉암,비진의 모두14동이었다. 그 후 한말 광주 4년(1900) 고성군에서 분리 독립된 이고장 진남군에 편입되어 진남군 한산면으로 구획된 이래 용남군 한산면 및 통영군 한산면 그리고 현 통영시 한산면이 되었다. 「한산」은 옛 거제현에 속한 거제도 서쪽에 인접한 수많은 섬 가운데 가장 대표적으로 큰섬이란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은 크다 (大) 또는 (多)많다. 토박이 지명 「한섬」,「한뫼섬」에서 유래한자로 지명되었다. 추봉도는 전국적으로 '봉암수석'으로도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특히 해안곡면을 따라 펼쳐진 1km의 봉암몽돌해수욕장은 여름철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해변을 따라 300m정도의 산책로가 있어 해수욕과 바다산책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리아스(Rias)식 해안을 따라 주변에는 풍광이 아름다운 유·무인도가 많이 산재해 있으며, 동백꽃과 야생화가 많아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다. 해안을 따라 기암절벽과 후박나무, 팔손이나무 자생지 등 수려한 수림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구릉성 산지에서 바라보는 해안경관이 매우 뛰어나고, 일출을 감상하기에 매우좋다. 예곡마을 입구에는 마을의 역사를 알려주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비문에는 "임진왜란 전부터 인접 거제 가배에 주둔한 병영이 있을 당시 이곳(경상우수영)에 관기를 주거시켜 '여곡'(女谷)또는'여기곡'(女妓谷)이라 불려왔는데, 1925년 마을 출신 참봉 이강조 어른게서 제4대 한산면장 재임 중 마을의 선비 유지들과 뜻을 같이하여 '예곡(禮谷)' 이라 개친하였다"고 적혀있다. 재미있는 추봉가 각 마을의 유래 예곡(禮谷·예골): 원래의 지명은 '여곡'(女谷)또는'여기곡'(女妓谷)으로 포구의 형상이 여음(女陰) 처럼 생긴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옛 경상우수영에 딸린 관기(官妓)들의 집단촌이었던 것에서 연유했다는 설이 있다. 이러한 전래의 지명이 이상하다 하여 근래에 「예곡(예골)」 으로 개칭했다고 한다. 봉암(峰巖·벌바우) : 서쪽 해안에 인접해 있는 작은 바위 섬에 옛날 벌(홉)이 많이 서식한 것에서 유래한 토박이 지명인 「벌바우(일명 벌여)」의 한자 지명이다. 추원(秋元) : 세종 1년(1419) 이종무(李從茂) 삼군도제찰사가 전선 227척과 1만7천282군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대마도정벌을 위해 발선했던 포구이다. 유래를 알수 없는 당시의 지명 「주원방포(周原防浦)」의「주원(周原)」에서 변천된 지명으로 사료된다. 곡룡포(曲龍浦·꼬부랑개) : 고부랑하게 생긴 포구의 형세와 더불어 마을에 이르는 언덕길이 고부랑길인 것에서 유래한 토박이 지명인 「꼬부랑개」를 음차표기한 한자 지명으로 사료된다.
-
냉천마을남해군 창선면 냉천(당항리)에 있는 바닷가 마을. 임진왜란 때 왜구를 치러온 병사들이 배고픔과 목마름을 달래며 행군하던 중 냉천마을에 이르러 주민들에게 먹을 것을 청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민들도 왜구의 수탈로 초근목피로 근근이 생명을 유지하던 때라 병사들에게 곡식을 주는 대신 샘물을 떠다 대접하였습니다. 갈증에 시달리던 병사들은 얼음처럼 차가운 샘물을 마신 후, 정신을 가다듬고 전투에 나갔다 합니다. 이처럼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휘하의 수군들이 이곳에 주둔해 있으면서 즐겨 마셨다는 샘이 있는 마을입니다. 여름에는 얼음처럼 차고 겨울에는 따뜻하며 물 맛 또한 일품인 샘이 있다 하여 '냉천'이라 불리웁니다. 우리말 지명은 '찬샘' 또는 '찬새미'입니다. 남해군 내에서 제일 큰 마을에 드는 냉천은 바다를 터전으로 삼아서인지 이농현상이 심하지 않았던 마을입니다. 1970년대 군 내 거의 모든 마을들에서 도시로 떠나가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지만 냉천마을 주민들은 조상들이 물려준 터를 살뜰히 일구어가고 있습니다. 마을의 갯벌은 천혜의 자연조건에 맞춰 체험의 장으로 만들었습니다. 가족, 회사나 단체 누구든 1년 365일 체험을 즐길 수 있는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곳 "냉천갯벌체험장"에서는 조개는 물론 낙지, 가재, 게, 특히 새우 종인 쏙이 많이 잡혀 손맛 또한 쏠쏠합니다. 쏙을 잡는 방법으로 옛날 냉천마을에서는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붓으로 된장을 풀어 쏙구멍에서 쏙을 잡는 방법도 있었다고 합니다.
테마여행 더보기
바다여행의 테마별 여행코스를 만나보세요.공지사항
더보기- 예비 귀어인 어촌생활 공모전(~5.9) 2022-04-18
- 2022년 바다해설사 신규양성 교육대상자 선정 결과 알림 2022-04-12
- 바다해설사 교육대상자 선발결과 발표 연기 알림(4.5 > 4.12) 2022-04-04
- 2022년 바다해설사 신규양성 교육대상자 모집 공고(3.15~30) 2022-03-14
- 2021년 어촌체험휴양마을 별점현황 안내 202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