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초기화
맞춤형 체험 검색
어촌체험휴양마을 더보기
바다여행에서 추천하는 체험마을을 만나보세요.-
냉천마을남해군 창선면 냉천(당항리)에 있는 바닷가 마을. 임진왜란 때 왜구를 치러온 병사들이 배고픔과 목마름을 달래며 행군하던 중 냉천마을에 이르러 주민들에게 먹을 것을 청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민들도 왜구의 수탈로 초근목피로 근근이 생명을 유지하던 때라 병사들에게 곡식을 주는 대신 샘물을 떠다 대접하였습니다. 갈증에 시달리던 병사들은 얼음처럼 차가운 샘물을 마신 후, 정신을 가다듬고 전투에 나갔다 합니다. 이처럼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휘하의 수군들이 이곳에 주둔해 있으면서 즐겨 마셨다는 샘이 있는 마을입니다. 여름에는 얼음처럼 차고 겨울에는 따뜻하며 물 맛 또한 일품인 샘이 있다 하여 '냉천'이라 불리웁니다. 우리말 지명은 '찬샘' 또는 '찬새미'입니다. 남해군 내에서 제일 큰 마을에 드는 냉천은 바다를 터전으로 삼아서인지 이농현상이 심하지 않았던 마을입니다. 1970년대 군 내 거의 모든 마을들에서 도시로 떠나가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지만 냉천마을 주민들은 조상들이 물려준 터를 살뜰히 일구어가고 있습니다. 마을의 갯벌은 천혜의 자연조건에 맞춰 체험의 장으로 만들었습니다. 가족, 회사나 단체 누구든 1년 365일 체험을 즐길 수 있는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곳 "냉천갯벌체험장"에서는 조개는 물론 낙지, 가재, 게, 특히 새우 종인 쏙이 많이 잡혀 손맛 또한 쏠쏠합니다. 쏙을 잡는 방법으로 옛날 냉천마을에서는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붓으로 된장을 풀어 쏙구멍에서 쏙을 잡는 방법도 있었다고 합니다.
-
연동마을마을 소개 경북 경주시 연동에 위치하고 있는 연동어촌체험마을은 에메랄드 빛 바다색에 물속이 훤히 들여다 보일 정도의 깨끗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또한 동해바다임에도 수심이 낮아 관광객들의 수산 동,식물 채취체험이 용이하다. 여기에 해양레포츠, 아라나비 체험시설까지 갖춘 마을로 가족 관광객에게 더할 나위 없는 휴식처를 제공하는 휴양형 어촌체험마을이다. 마을의 체험거리로는 아라나비 체험, 수산동식물 채취 체험, 고기잡이 체험이 있으며, 현재 투명카누 체험을 예정하고 있다. 마을의 특산물로는 전복, 해삼, 미역, 성게 등이 있다. 주위 관광지로는 감은사 문무대왕릉 등이 있다.
-
지족마을지족어촌체험마을로 향하는 창선교 경남 남해에 위치한 지족어촌체험마을은 자연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지족해협에는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어업법인 죽방렴이 있는데 창선교와 함께 남해 12경 중 4경에 속한다. 물속에 비추어진 빨간 창선교와 죽방렴의 어울림은 인간과 자연의 아름다운 조화라 할 수 있다. 지족해협은 손도라고도 하는데 이는 목이 좁은 바닷길이라는 뜻이다. 밀물과 썰물이 심한 지족해협은 양식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어서 이곳에서 나는 굴과 바지락, 멸치는 모두 자연산이다. 한편,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있어 즐길거리 또한 풍부하다. 삼동면 중심부의 면소재지 인근에 위치한 지족마을은 지족해협을 사이에 두고 창선면과 접하고 있으며, 창선교가 이어주고 있다. 지족해안도로를 따라 들어오면 남쪽 둥근 언덕이 꽃밭을 이루고 있다 하여 화전등(花田嶝)이라고 부르며, 마을 해안이 둥근 반달모양으로 형성되었다 해서 "달반월"이라 부르고 있다. 지족해협의 깊이는 10m가 못 된다. 썰물일 때면 지족해협은 그 옛날 창선과 하나의 섬이라는 걸 입증 이라도 하듯 바닥을 드러낸다. 영동시가 되면 지족갯마을에는 바닷길이 열리게 되어 손에 잡힐 듯 바라다 보이던 장구섬, 농가섬을 걸어 갈 수 있는 행운을 얻게 된다. 쌀쌀한 겨울 태양이 수면아래로 떨어질 때면 노을이 지면서 주변도 서서히 붉어진다. 죽방렴의 긴 장대 그림자가 얕은 파도에 일렁거리면 장구섬이 한층 더 큰 그림자로 다가온다. 뚜렷한 명암과 원근감. 그리고 붉은 채색. 어느 하나도 놓칠 수 없는 광경이다. 지족어촌체험마을의 남해 4경 싱싱한 굴, 졸깃졸깃한 바지락, 갖은 양념으로 무친 멸치회를 한번 먹어본 사람들은 그 맛을 잊지 못해 매년 찾게 된다. 그 맛은 아름다운 갯마을과 함께 하기에 더 맛있지 않을까.
테마여행 더보기
바다여행의 테마별 여행코스를 만나보세요.공지사항
더보기- 1교1촌 자매결연 '찾아가는 어촌체험교실' 참여학교 모집 2022-08-12
- 2023년 어촌 유휴시설 활용 海드림 사업 공모 계획 안내 2022-07-28
- 국가어항 디지털 사진 영상 공모전 2022-07-11
- 세계 각국 청년들, 어촌체험휴양마을로 모여라 2022-07-11
- 올해 일등어촌은 어디?…어촌관광 등급결정 현장조사 실시 2022-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