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초기화
맞춤형 체험 검색
어촌체험휴양마을 더보기
바다여행에서 추천하는 체험마을을 만나보세요.-
무창포마을'모세의 기적이 일어나는 아름다운 해변마을' 한국판 모세의 기적이 나타나는 신비의 바닷길이 열리는 마을 무창포마을은 마을 앞바다에 한달에 4~5차례씩 모세의 기적이 나타나는 마을입니다. 수산연구소가 있어 아이들의 교육의 장이 되며 "가을 바다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곳"입니다. 야트막한 언덕길을 넘어가면 아늑하고 낭만이 가득한 무창포 해수욕장이 다소곳이 휴양객을 맞습니다. 활어와 해산물이 많으며 봄에는 쭈꾸미, 활어 , 가을에는 대하, 전어가 풍부합니다. 석대도까지 1.5km에 이르는 바다가 갈라져 나타나는 바닷가를 걸으며 해삼, 소라, 낙지 등을 맨손으로 건져 올리는 재미는 무창포가 아니고서는 쉽게 맛 볼 수 없는 즐거움 중의 즐거움입니다. 또한 이곳 갯벌에서는 돌을 쌓아 바닷물이 들고 나는 것을 이용하여 고기를 잡는 전통적인 독살을 구경할 수 있습니다. 무창포는 여름 휴양지라는 해수욕장으로서의 한계를 뛰어넘어 사계절 내내 가족단위 휴양객들의 발길이 끊기지 않고 있습니다. 무창포의 매력은 야트막한 언덕 위로 흐르듯 다가가는 해변도로의 드라이브와 울창한 해송 숲의 아름다움을 꼽을 수 있습니다. 무창포 바닷물은 시원하기는 하나 차갑지는 않아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단위 휴양객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창포 낙조는 그 황홀한 아름다움으로 보령팔경 중에서도 으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구엄마을320여가구에 900여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구엄리는 제주시 서쪽 16km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서 웃동네, 알동네, 모감동, 대흥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동쪽으로는 하귀 2리 하문동이 1.5Km의 거리에 있고 서쪽으로는 중엄·신엄·고내리, 서남쪽으로는 용흥리 500m∼1.5Km거리에있다. 동남쪽으로는 하귀 2리 번데동과 수산리 그리고 수산봉을 500m∼1Km의 거리를 두며 북쪽으로 제주해안인 바다와 접하고 있는 상코지와 진도코지 및 서치강굴 물구비를 이루고 있는 반농반어촌 마을이다 북쪽으로 남해와 접해 있으며, 서쪽으로 원내천이 흐르는 대부분의 지역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는 마을이며. 구엄마을의 포구이름은 그 속명이 ‘철무지개’다. (탐라순력도)등 옛 고지도들에는 ‘염장포’라 표기되어있다.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오이농사가 대규모로 지어지고 있으며, 그 외에 쪽파등의 밭농사도 많이 지어지고 있습니다. 해안도로 주변의 해안절경이 매우 뛰어나며 특히 구엄포구 부근에 선조들이 염전으로 사용하던 500여평의 평평한 천연암반은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수 있는 곳이며, 해안절경이 아주 뛰어난 구엄마을입니다.
-
장고도마을장고도는 섬의 모양이 장구처럼 생겼다 하여 장구섬, 장고섬 등으로 불리운다. 장고도는 섬의 모양이 장구처럼 생겼다 하여 장구섬, 장고섬 등으로 불리우며, 태안 해안국립공원에 들어있어 풍경이 아름다운 마을이다. 장고도마을에는 등바루놀이, 진대서낭제, 용왕제 등 다양한 민속놀이가 전해오고 있으며, 이중 등바루놀이는 등불을 켜고 마중나온다는 의미로 매년 4월초 처녀들이 조개를 재취하며 땀을 흘린 뒤 휴식을 즐기면서 풍어를 비는 민속놀이로 200여 년 동안 전해져오고 있다. 마을에서는 염전체험, 야간 지인망체험, 낚시체험 등을 즐길 수 있으며, 장고도 특산수산물인 ‘실치포’(뱅어포 불림)를 발장에 말리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섬의 북서쪽은 암서해안이 발달했고, 백사장과 소나무가 기암괴석과 조화를 이루어 고대도와 더불어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일부를 이룬다. 해발고도 28m의 구릉이 1개 있을 뿐 섬 전체가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 해안에 넓고 완만한 만이 있으며, 해안선은 비교적 단조롭다. 보건진료소, 경찰초소 각1개소와 초등학교 분교 1개교가 있고, 대천항에서 여객선이 하루 3회(비수기)~4회(성수기) 운항된다.
테마여행 더보기
바다여행의 테마별 여행코스를 만나보세요.공지사항
더보기- 2022년 우수 사무장 및 우수 바다해설사 선정 계획 공지 2022-10-28
- 2022년 바다해설사 하반기 활동 확대 지원 안내 2022-10-28
- 1교1촌 자매결연 '찾아가는 어촌체험교실' 이벤트 안내 2022-09-22
- 1교1촌 자매결연 '찾아가는 어촌체험교실' 대상학교 선정 결과 2022-09-07
- 1교1촌 자매결연 '찾아가는 어촌체험교실' 대상학교 선정결과 연기 알림(9.2.→다음주) 2022-09-02